카테고리 없음

보호 자립 청년들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혜택(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대상 및 신청 방법)

transforjinhwan 2023. 11. 12. 13:37
728x90
반응형

이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보호되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 종료된 청년(보호 자립 청년)들도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뉴스가 있어 오늘 포스팅에서 뉴스 내용 요약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이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는 정책 브리핑 홈페이지 및 보건복지부 보도자료를 첨부하였음을 명확히 한다.

 

◈ 보호 자립 청년들 의료비 지원 관련 뉴스 내용 요약

보건복지부는 2023년 11월 13일부터 '자립준비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신청 접수를 개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신설되는 자립준비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은 건강보험 가입 자립 준비 청년이 의료급여 2종과 유사한 수준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본인일부부담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신청을 통해 지원 대상자로 선정 시 2023년 12월 1일 진료분부터 의료비 지원을 적용받을 수 있다.

입원·외래 진료를 받거나 약국에서 의약품을 조제받는 경우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는 본인 일부 부담금으로 요양기관 종별, 입원·외래 여부 등에 따라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20% ~ 60%를 부담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대상자 ≫ 의료비의 14%만 부담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신청 대상

- 보호종료일로부터 2년 이상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보호를 받은 자

- 18세 이후 보호종료된 자립 준비 청년

- 건강보험 직장·지역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자격을 가진 자

※ 의료급여 수급자나 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는 해당 제도를 통해 이미 낮은 본인부담률이 적용되므로 지원에서 제외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지원 기간

- 보호 종료 후 5년

- 의료비 지원 대상자로 지원 결정된 다음날 ~ 보호종료일부터 60개월 속하는 달의 마지막 날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지원 내용

- 입원·외래 진료를 받거나 약국에서 의약품 조제 시 ≫ 의료비의 14%만 부담

- 의료비 지원이 적용되는 진료 횟수나 지원금액 제한 ≫ 없음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대상자의 본인일부부담금>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대상자의 본인일부부담금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대상자의 본인일부부담금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예시) 종합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고 요양급여비용 총액 ≫ 20만 원

- 일반 건강 보험 가입자 본인 부담금 ≫ 10만 원(본인부담률 50%)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대상자 ≫ 2만 8천 원(본인부담률 14%)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지원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창구에 접속하여 신청하면 된다. 아래 버튼 클릭 ∇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지원 신청

 

 

1. 버튼을 클릭하면 신청과 관련된 내용 설명 페이지가 나오는데 확인 후 아래쪽 '다음 페이지'를 클릭하여 넘기면 된다.

2. 3페이지로 가면 개인 정보 수집 및 동의를 하고 다음 페이지를 클릭하면 된다.

3. 4페이지로 가면 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신청 시 유의사항이 나오는데 각각의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 체크를 하고 다음 페이지를 클릭한다.

4. 5페이지로 가면 신청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등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서 신청을 마무리하면 된다.

 

이상 보호 자립 청년들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혜택(자립 준비 청년 의료비 지원 사업 대상 및 신청 방법)에 관련된 뉴스 및 신청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친다. 다음 포스팅도 알차고 유익한 뉴스를 가지고 찾아 올 예정이니 기대 바란다!

 

 

반응형